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는 1989년에 방영된 대한민국의 SF 애니메이션이다. 2020년, 자원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위기에 처한 지구를 배경으로, 실종된 아버지와 새로운 행성을 찾아 우주로 떠나는 소년 아이캔의 모험을 그린다. 작품은 기계 문명의 폐해와 인간의 이기심을 다루며, 13부작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NHK 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우정의 그라운드
2002년 KBS2에서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우정의 그라운드는 한국인 축구 유학생 강찬과 일본인 플레이메이커 타카미자와 켄이치가 이탈리아 몬테로자 팀에서 만나 우정을 쌓으며 활약하는 이야기다. - NHK BS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쾌걸 조로 (애니메이션)
쾌걸 조로 (애니메이션)는 18세기 캘리포니아에서 악당에 맞서 싸우는 정의의 검객 조로의 활약을 그린 작품으로, 주인공 돈 디에고 베가가 낮에는 게으른 청년으로, 밤에는 조로로 변신하여 활약하는 내용을 담고 1996년에 방영되었다. - 위성 애니메이션 극장 - 다!다!다!
《다!다!다!》는 NASA에 파견된 부모님으로 인해 절에서 동거하게 된 중학생 강예나와 민우주가 우주 아기 루다와 시터펫 바바와 함께 펼치는 육아 이야기를 그린 카와무라 미카의 만화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로도 방영되어 아동용 애니메이션으로서의 재미와 가족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위성 애니메이션 극장 - 태풍의 그라운드
태풍의 그라운드는 1994년 NHK BS2에서 방영된 TV 애니메이션으로, 이미지 케이가 제작하고 미야자키 신지가 음악을 맡았으며, 류무라 히카루, 미야모토 타쿠야, 테라바야시 쇼타로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NAOKI가 작사/작곡하고 DOG FIGHT가 노래한 오프닝/엔딩 테마가 사용되었으며, 애니메이션 방영 시기에 맞춰 쇼가쿠칸의 학습 잡지에 만화가 연재되고 3DO용 게임 소프트웨어로도 발매되었다. - 198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달려라 하니
1988년 KBS 2TV에서 방영된 이진주 작가의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달려라 하니》는 어머니를 잃은 13세 소녀 하니가 육상선수로 성장하는 이야기와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리며, 이선희가 부른 주제가와 주민등록증 발급 등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도 인기를 얻었다. - 198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아기공룡 둘리
김수정 작가의 만화에서 시작된 아기공룡 둘리는 고길동의 집에서 둘리와 친구들이 함께 살며 초능력과 타임머신을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사회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원제) | 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 |
장르 | SF, 모험 |
애니메이션 정보 | |
원작 | 김대중 |
저작권 | 1989 KBS KBS미디어 세영동화 All rights reserved. |
기획 | 세영동화 |
총감독 | 김대중 |
감독 | 정세권 |
감수 | 조경철 |
성우 | 김순원 장유진 서혜정 김민규 박상일 김성희 이경자 이정구 임은영 문영래 백진 |
구성 | 최진박 |
음악 | 박형신 |
미술 | 이영범(타이틀) 최용균, 정현수(텔레시네) |
애니메이션 제작 | 세영동화(주) |
제작사 | KBS KBS미디어 (구) 한국방송사업단 세영동화(주) |
방송사 | KBS 2TV NHK BS-2 |
그 외 방송사 | 투니버스 KBS 키즈 |
방영 개시 | 1989년 5월 (1989년 칸 영화제( 프랑스)에서 상영된 파일럿판) 1989년 10월 6일 |
방영 종료 | 1989년 12월 29일 (TV 시리즈) 1992년 6월 1일 ~ 1992년 6월 17일 |
화수 | 13화 |
2. 줄거리
2020년, 지구는 인구 폭증, 자원 고갈, 환경오염 등으로 위기에 처한다. 인류는 지구를 대체할 행성을 찾기 위해 '독수리호'를 우주로 보내지만, 독수리호는 실종된다. 독수리호 선장의 아들 아이캔은 아버지를 찾기 위해 수색대 우주선에 몰래 탑승하고, 최연소 대원으로 우주여행을 떠난다.
어린아이들의 전유물이라는 대한민국 특유의 정서를 완전히 탈피한 작품이다. 기동전사 건담처럼 청소년, 성인들을 대상으로 제작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기계문명의 폐해와 인간의 이기심 등을 각 등장인물의 표정과 연기에서 알 수 있다. 방영 당시 본 애니메이션을 시청했던 어린아이들의 반응은 '무서웠다', '심각하다', '어렵다'였으나, 치밀한 스토리와 퀄리티로 일부 성인층과 청소년들에게서 매니아층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에 대한 편견으로 전반적인 시청률은 낮았고, 소위 '저주받은 걸작'으로 일컬어졌고, KBS 방송 관계자는 '국내 환경에서 앞으로 향후 10년 동안 이런 명작이 나올 확률이 거의 없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
주요 인물
3. 오프더레코드 (비운의 걸작)
88 서울 올림픽 당시 아기공룡 둘리, 달려라 하니, 떠돌이 까치와 같이 정부의 정책적인 드라이브로 만들어진 본 작품은 올림픽 기간이 끝남과 동시에 세영동화와 김대중 사단이 해산되었다. 작화감독, 총감독 등 제작진들은 애니메이션의 불모지인 대한민국을 떠나 해외로 뿔뿔이 흩어져 미국, 일본 등지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1]
비록 대중에게 관심은 못 받았지만, 업계에서는 엄청난 수작으로 평가되고 있다.[2] 한국에서 제작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이 방영되기 시작한 초기 시절의 순수 한국 제작 애니메이션으로, 처음부터 해외 수출을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다.[2]
트랜스포머 시리즈의 스태프 중 한 명이자, 트랜스포머 더 무비에서 감독을 맡았던 경험이 있는 넬슨 신과 그가 설립한 회사인 AKOM이 관여했기 때문에, 하드론 전지의 디자인은 해당 작품에 등장한 매트릭스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2]
4. 등장인물
아이캔 주인공. 독수리호 선장의 아들. 아버지를 찾기 위해 수색대에 합류. 김순원 / 故 후지타 토시코[1] 예나 히로인. 아도나 행성 여왕의 친딸. 장유진 / 카나이 미카 선장 수색대 우주선의 선장. 박상일 / 센다 미츠오 리사 수색대원 중 유일한 여성. 김성희 대모 수색대 갑판장. 문영래 / 故 세키 케이로쿠[2] 박사 수색대를 지원하는 노인. 김민규 / 故 나가이 이치로[3] 코보트 아이캔을 따르는 로봇. 서혜정 / 야마다 후시기 조력자 코니 예나가 기르는 우주생물. 없음 악당 데몬 마왕 아이캔 일행을 제거하려는 로봇 마왕. 백진 마라 마왕 데몬 마왕의 누님. 이경자 / 나카니시 타에코 코타오 마라 마왕의 부관 로봇. 이정구 / 故 타노나카 이사무[4] 비비라 마라 마왕의 부하. 서혜정 / 카츠키 마사코 기타 바솔 왕자 마라 마왕에 맞서 싸우는 UPO성 왕자. 백진 / 타치키 후미히코 독수리호 선장 아이캔의 아버지. 이정구 아도나 여왕 예나의 친어머니. 김성희